하루 한줌의 마법! 아몬드 효능 & 칼로리 1탄, 2탄 포스팅을 통해 아몬드의 효능과 영양성분, 칼로리, 제철시기, 고르는 법과 보관법까지 자세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몬드에 대해 간단히 한 문장으로 표현해 보자면
“건강한 불포화지방산 가득! 고단백·저탄수화물 영양 간식”
요렇게 표현해 볼 수 있겠습니다.
아몬드는 기원전 3,000 ~ 4,000년 전부터 서아시아 및 지중해 지역에서 재배되었습니다. 이 지역들의 기후는 온난하고 건조해 아몬드 재배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아몬드는 고대 이집트에서 왕족과 귀족들의 귀한 음식으로 여겨졌고 고대 로마에서는 행운과 다산의 상징으로 결혼식에서 아몬드를 뿌리기도 했습니다.
중세 시대에 무슬림 무역상들이 아몬드를 유럽 전역으로 전파하면서 본격적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고 이후,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대량 재배가 시작되면서 유럽의 대표적인 견과류로 자리 잡았습니다.
16 ~ 18세기 스페인의 탐험가들이 아몬드를 아메리카 대륙으로 들여오면서 미국(캘리포니아)에서 본격적으로 아몬드가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현재 전 세계 아몬드 생산량의 약 82%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몬드는 과거에 단순한 견과류였지만 현대에서는 단백질 공급원, 다이어트 식품, 항산화 식품 등 기능성 슈퍼푸드로 재해석 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고단백· 저탄수화물 식품이면서 건강한 불포화지방산이 가득한 아몬드는 우리에게 어떤 건강 이점을 제공하며 그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포스팅을 통해 함께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몬드의 효능과 영양성분, 아몬드의 제철, 그리고 고르는 법까지 그림과 표로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몬드 효능
1. 심혈관 건강 증진
*효과 :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혈압 조절 및 혈액순환 개선
*메커니즘
– 아몬드에 풍부한 불포화지방산은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비타민E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합니다.
– 또한, 마그네슘은 혈관을 확장하여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불포화지방산 : 오메가-9, 리놀레산
– LDL 콜레스테롤 감소 : 동맥 내 플라크(지방 침착물) 형성 방지
– HDL 콜레스테롤 증가 : 혈관 내 쌓인 지방 찌꺼기 제거, 혈관 건강 유지
※ 비타민E
– 혈관 내 산화 스트레스 감소 : 활성산소 제거, 혈관 벽 손상 방지
※마그네슘
– 혈관 확장 및 혈압 조절 : 혈관 확장, 혈액순환 원활, 고혈압 예방
– 부정맥 예방 : 심장 근육의 전기 신호 전달 조절, 부정맥 예방
2. 다이어트
*효과 : 포만감 증가, 체내 지방 연소 촉진, 체중 감량
* 메커니즘
– 아몬드의 풍부한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식사 후 포만감을 오래 유지하도록 하여 간식 섭취를 줄이는 등 다이어트 및 체중감량에 도움을 줍니다.
– 또한, 불포화지방산은 지방 연소를 촉진합니다.
※단백질
– 식욕 조절 : GLP-1(Glucagon-like peptide-1) 및 PYY(Peptide YY) 등의 식욕 억제 호르몬 분비
– 포만감 증가 : 그렐린(Ghtelin, 공복 호르몬) 수치를 낮춰 식사 후 포만감을 오래 유지
– 기초대사량 증가 : 근육 합성을 촉진하여 기초대사량 증가, 많은 에너지 소비로 체중감량
※ 식이섬유
– 소화 속도 조절 및 포만감 유지 : 위장에서 소화 속도를 늦춰 포만감 오래 유지
※불포화지방산 : 오메가-9, 리놀레산
– 지방 연소 촉진 : 체내 갈색 지방을 활성화하여 지방 연소 촉진
3. 근육 형성 및 유지
*효과 : 근육 합성 및 유지, 근육 성장 및 회복
*메커니즘
– 아몬드에 풍부한 단백질은 체내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근육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여 손상된 근섬유 복구 및 새로운 근육을 형성합니다.
– 또한 마그네슘은 ATP 생성을 촉진하여 근육에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단백질
– 근육 단백질 합성 촉진 : 아미노산으로 분해, 근섬유 복구 및 새로운 근육 형성
– 근육 분해 방지(항이화 작용) : 단백질이 부족하여 근육을 분해 및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작용 방지